안녕하세요
에이스 에비뉴 대구점에
박 매니저입니다.

여러분들은 원목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계시나요?
개성이 강한 트렌드에 맞춰
나의 취향에 맞게 선택이 가능하여
선택의 폭이 넓어졌지만 반대로
원목에 대한 정보가 없으면
선택을 하는 것이 힘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원목의 종류 중
하드우드와 소프트우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드우드(Hard Wood)
말 그대로 단단한 나무를 뜻합니다.
비교적으로 더운 지방에서 자라는
하드 나무는 잎사귀가 넓은 활엽수로
촘촘하고 밀도가 높아 성장 속도가 느립니다.
느리게 자라는 만큼 나무의 결이 진하고
선명하여 고급 가구에 쓰입니다.
성장 속도가 느리니 당연히 생산량도 적겠죠?
그래서 소프트우드보다 가격이 비싼 편에 속합니다.
단단한 만큼 갈라지거나 휨 현상이 거의 없고
밀도가 높아 무게도 무거운 편에 속합니다.
단단하기 때문에 가공이 어렵고 스크래치에 강해
벌레가 파고든 흔적도 거의 없습니다.
대표적인 하드우드는
자단나무, 흑단나무, 참나무, 호두나무
고무나무, 물푸레나무, 벚나무, 너도밤나무 등
소프트우드(Soft Wood)
하드우드보단 상대적으로 무른
나무들을 말합니다.
비교적 추운 지방에서 자라는
소프트우드는 잎사귀가 뾰족한 침엽수로
밀도가 낮아 성장 속도가 빠릅니다.
빠르게 자라는 만큼 밀도가 낮다 보니
디자인적인 소품, 생활용품이나
건축자재 등에 많이 쓰입니다.
성장 속도가 빠른 만큼 생산량도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하드우드에 비해 가격이 저렴합니다.
단단하지가 않아 갈라지거나 휨 현상이
생길 수도 있고, 밀도가 낮아
무게는 가벼운 편에 속합니다.
가공하기가 훨씬 쉽지만 스크래치나
찍힘에 하드우드보단 약합니다.
대표적인 소프트우드는
소나무, 삼나무, 편백나무 등
이렇게 간략하게 표로 만들어 보았는데요.
같은 원목이라도 어느 지역에서
자랐는지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나무가 잘 자랄 수 있는 높지 않은 습도와
일정한 온도가 중요한데요.
기온에 따라서 수축과 팽창을 하기 때문에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좋은 환경이 아니라 수입 원목과
품질을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이상 원목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다음에 더 좋은 정보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무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원목, 집성목, 합판, MDF, PB 특징과 장단점 (40) | 2023.03.31 |
---|---|
소프트우드(Softwood) 원목의 종류와 특징 (17) | 2023.03.24 |
하드우드(Hardwood) 원목의 종류와 특징 (40) | 2023.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