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이스 에비뉴 대구점에
박 매니저입니다.

이전에 원목의 종류에 대해서
소프트우드(SOFTWOOD)와
하드우드(HARDWOOD)를
어떻게 나누는지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그 원목들의
특징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드우드 흑단나무(Ebony)
흑색과 갈색 줄의 우아한 색상과 은은한 광택이
나고 현존하는 목재 중에서 가장 단단하며
밀도가 높아 물에 가라앉는 것이 특징입니다.
50년에 1M 정도 자라는 만큼 생산성이 낮고 희귀성이
높아 원목 나무 중에 가장 비쌉니다. 주로 최고급 가구,
피아노 건반, 악기, 악세사리 등에 쓰입니다.

하드우드 자단나무(Rosewood)
나무를 잘랐을 때, 진액에서 장미 향이 난다고
Rosewood라고 불리고, 자색에서 짙은
붉은색을 띠고 흑단과 마찬가지로 밀도가
높아 물에 가라앉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최고급 가구, 고급 악기, 장식품 등에
쓰이고 명나라 황실에서 많이 쓰여 대부분
자단 나무는 중국으로 수출이 됩니다.

하드우드 호두나무(Walnut)
월넛이라고 부르는 호두나무는 나뭇결이 선명하고
진한 밤색이 특징이며 중후한 멋이 살아있는
다소 무거운 색상이지만 내구성이 좋고 변형이
적어 고급 가구에서 많이 쓰이는 원목입니다.
조직이 치밀하여 습기나 휨 현상에도 강하고
그렇게 무거운 편에 속하지 않아 고급 가구, 악기,
공예품 등에 많이 쓰입니다.

하드우드 벚나무(Cherry)
주로 3월 말쯤에 우리가 보는 벚꽃이 피는 나무로
잘 알고 있지만 원목에 쓰이는 벚나무는 약간
다른 종이고, 영문으로 체리라 과일 체리나무
인걸로 착각하시는 분도 계시는데 다른 나무입니다.
적갈색을 띠고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더
짙은 색으로 바뀌는 것이 특징입니다.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하며 탄성이 뛰어나 악기,
고급 가구, 목재 기구에 많이 쓰입니다.

하드우드 티크나무(Teak)
곧은 나무결과 진한 갈색에 나무 자체에서
병충해를 막는 오일을 생성해 촉감이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광택이 살아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바람과 수분에 대한 저항력이 좋고 쇠에 대한
부식이 없어 고급 선박, 고급 가구, 아웃도어용
인테리어 가구 등에 많이 쓰입니다.

하드우드 참나무(Oak)
흔히 우리나라에서는 도토리가 자라는 나무에
속하고 큰 나무결과 내구성이 높아 병충해에도
강하여 고급 가구에 많이 쓰이는 원목입니다.
나무 색깔에 따라서 붉은 기가 도는 레드오크와
밝은 황토색이 도는 화이트 오크로 구분됩니다.
조직이 치밀하여 내구성이 강하고 잘 건조하면
물에도 강해져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급 가구, 위스키 저장통, 인테리어 소재 등에 쓰입니다.

하드우드 물푸레나무(Ash)
나뭇결이 자연스럽게 퍼지고 밝은 황갈색을 띠는
원목입니다. 나뭇결이 거칠고 무게는 무거운 편이지만
가공하기에는 비교적 용이한 게 특징입니다.
호두나무와 참나무보다는 가격이 저렴하여
고급 가구에 대중적으로 많이 쓰이고 탄성이 좋아
운동 기구재, 악기 재료에도 많이 쓰입니다.

하드우드 단풍나무(Maple)
우리가 잘 아는 메이플 시럽을 단풍나무 수액을
채취하여 만듭니다. 나뭇결이 아름답고 연한 적갈색을
띄며 노출됨에 따라서 점점 노랗게 변하는 성질을
가지는 게 특징입니다. 내구성이 강하고 신축성이
뛰어나 주로 고급 가구, 주방용품, 몰딩,
악기나 바닥재로도 많이 쓰입니다.

하드우드 너도밤나무(Beech)
우리나라 울릉도 태하동에 위치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나무로 유명한 너도밤나무입니다.
밝은 적갈색을 띠며 공기 정화 효과를 갖는 수종으로
특별한 향과 맛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나무 조직이 치밀하여 내구성이 강하고 탄성이 뛰어나
휨 가공용으로 많이 쓰이고 고급 가구, 건축재,
주방용품, 선박재, 보관용 술통에 많이 쓰입니다.

하드우드 고무나무(Rubber)
흔히 라텍스, 고무를 만드는 데 생산하는 나무이고
다른 하드우드에 비해 조금 무른 편에 속합니다.
생산량이 많아 다른 원목들에 비해서 가격이
조금 저렴한 편에 속하는 원목입니다.
연한 황토색을 띠며 무게가 가볍고 수축 및 팽창이
적어 뒤틀림이나 변형이 거의 없습니다.
특유의 향 때문에 병충해에 약하지만 가공을
잘 하면 보존성이 뛰어나 가구에 많이 쓰입니다.

목재에 가치에 따라서 등급이 나뉘게 되고
등급이 낮을수록 가치가 높고 가격대 높습니다.
흔히 5등급까지는 하드우드라고 불리고, 나무의
종과 자라는 지역 환경에 따라서 밀도, 나뭇결,
색깔은 조금씩 다릅니다.

이상 원목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다음에 더 좋은 정보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무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원목, 집성목, 합판, MDF, PB 특징과 장단점 (40) | 2023.03.31 |
---|---|
소프트우드(Softwood) 원목의 종류와 특징 (17) | 2023.03.24 |
원목의 종류 소프트우드(Softwood), 하드우드(Hardwood) (38) | 2023.02.25 |
댓글